본문 바로가기
메이킹북스 책 이야기

코로나블루 극복하는 나만의 방법, 나스스로챙기기 #호흡명상인간건강백서

by 마케팅은 누구나 2020. 4. 21.
728x90

안녕하세요. 메이킹북스입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와 '집콕생활'을 길게 하시고 계시는데요.

사회적 거리두기와, 일상생활의 지장으로 인해 외로움과 우울, 불안감, 무기력증을

느끼는 현상이 많아졌다고 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코로나블루'라고 하는데요.

코로나블루는 코로나19와 우울감(blue)가 합쳐진 신조어입니다.

취업포털사이트에서는 성인남녀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가 54.7%가 코로나블루를 경험했다고 합니다.

코로나블루를 느끼는 가장 큰 이유 1위는 고립과 외출자제로 인한 답답함과 지루함입니다.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장기화되면서 답답함과 지루함이 생기는걸로 보입니다.

또한 2위는 야외활동 부족으로 인한 체중증가, 건강염려증, 소통단절 등

코로나 블루를 많이들 경험했다고 합니다.

코로나블루로 인해 '코로나블루극복하기!'라는 각종 행사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또한 요즘에는 우울함을 날려 줄 명상앱이 주목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 명상이 왜 필요할까요? "

 

"

 

 

호흡명상은 인간이 스스로의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수단 중 최고의 방법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호흡이 피부호흡과 코로 받아들이는 허파호흡이다.

이 과정은 나의 의식이 동반되지 않은 무의식 속에서 이루어지는 생존을 위한 호흡이다.

그렇게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호흡을 의식을 동반한 호흡으로 전화하여 호흡을 하면

인간의 육신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길이 열리는 것이다.

육신을 건강하게 유지한다는 것은 인간이 병들지 않고 오래 건강하게 살 수 있다는 것이다.

 

 

- 호흡명상 인간건강백서 中

 

 

 

 

우리의 건강은 '육신의 건강'과 '영혼의 건강'으로 나누어집니다.

단순히 몸이 건강하다고 하여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육신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건강 또한 중요합니다.

특히 우울감, 외로움, 불안감, 무기력함은 대부분 정신적인 문제에서 발생합니다.

이때, 우리는 자신만의 '기'를 다스려 인간의 몸을 형성하고 있는 에너지를 최대한 끌어올리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호흡 수련은 오랫동안 한 곳에 집중하여도 뇌의 부화가 없을뿐더러 머리가 맑아집니다.

또 호흡명상을 하다 보면 수많은 생각들이 들어오고 나갑니다.

그 생각 속에는 혼돈, 혼란, 생각의 중복, 분심 등 수많은 생각들이 오가며

하나의 경계가 영혼의 진화를 이루고 조금씩 육신의 진화를 이루어 나가게 됩니다.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최고의 면역력이자 치유력인 '호흡명상'

이처럼 우리도 호흡명상을 통해

우울감이나 긴장 등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시켜 정신 및 육체의 건강을

다시 되찾아 유지될 수 있도록 수련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코로나사태로 인한 불안감과 우울감을 명상을 통해 마음을 수련하여

스스로의 몸을 챙겨서 '코로나블루' 모두 극복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 도서

 

호흡명상

 

“인간 진화의 끝은 내가 이 지구상의 모든 인간에게 던지는 화두이다.”

 

『호흡 명상 인간건강백서』는 모든 독자들이 ‘기’ 수련을 쉽게 이해하여

실행에 옮길 수 있도록 ‘기’ 수련 방법과 차례를 차곡차곡 담아낸 책이다.

20년이 넘는 세월을 오직 호흡 명상 수련에 몰두해 온 저자의 ‘기’ 수련 노하우와 경험담이 책에 고스란히 녹아 있다.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6297618

 

호흡 명상

나는 감히 이 책을 건강백서라 이야기한다. 내가 감히 건강백서라 이야기하는 것은 이 글 내용들에 대한 나의 자신감이다. 호흡 명상은 인간이 스스로의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수단 중 최고의 방법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내가 이 책을 쓰면서 바람이 있다면 지구상의 모든 사람이 이 책의 내용을 믿고 호흡 명상 수련을 하여 건강한 삶을 살아가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호흡 명상 인간건강백서』 中

book.naver.com

 

댓글